파이썬에서는 '문자열 자료형'을 특정 기준에 따라 판별하는 메서드가 여러 개 있습니다. 이들 메서드는 문자열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, 아닌지에 따라 불리언(True or False)값을 반환합니다.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. 1. .isdigit() 문자열의 모든 문자가 숫자(0-9)일 때, True를 반환합니다. 그래서 숫자로만 구성된 문자열인지 판별할 때 사용합니다. # .isdigit() example = '1234' print(example.isdigit())# True 반환 example2 = '1a2b' print(example2.isdigit())# False 반환 example3 = '7' print(example3.isdigit())# True 반환 2. .isalpha() 문자열의 모든 ..
전체 글
파이썬에서 'in' 연산자는 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. 멤버십 테스트 반복문에서 순회 1. 멤버십 테스트 in 연산자는 어떤 요소가 iterable 객체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. 이 경우 연산자는 True or False 를 반환 # 리스트에서 사용 numbers = [1, 2, 3, 4, 5] print(3 in numbers) # 출력: True # 문자열에서 사용 greeting = "Hello, world!" print("Hello" in greeting) # 출력: True # 딕셔너리에서 키로 사용 person = {"name": "John", "age": 30} print("name" in person) # 출력: True 2. for반복문에서 순회 역할 반복문에서 in연..
파이썬 이터레이터와 제너레이터는 'Iterable'한 객체입니다. 파이썬의 'Iterable'이라는 개념을 염두에 두고 두 개념을 각각 살펴보겠습니다. 1. 이터레이터(Iterator) 'iterable'한 객체이며 next() 함수 호출 시 지니고 있는 요소를 순차적으로 반환하는 객체 'iterable'한 객체이기에 for문과 함께 사용이 가능 iter() 내장함수를 통해 리스트, 세트, 튜플 등 iterable한 객체를 이터레이터 객체로 변환 가능 이터레이터 객체는 지니고 있는 요소를 각 한 번씩만 반환합니다. # 이터레이터 객체에 대한 이해 >>> a = [1, 2, 3] >>> ia = iter(a) >>> type(ia) >>> next(ia) 1 >>> next(ia) 2 >>> next(ia..
파이썬의 all(), any()함수는 이터러블 객체의 각 요소들에 대한 불리언 검사를 수행하는 내장 함수입니다. 1. all() 함수 사용 목적: Iterable 객체의 모든 요소를 Boolean 검사하여 모두 참이면 True를 반환합니다. 반환 값: 모든 요소가 참이면 True를, 하나라도 거짓이 있는 경우 False를 반환합니다. ※ 이터러블 객체가 비어 있으면 True를 반환합니다. # all() print(all([True, 1, [3]])) # 모든 요소가 참이므로 True print(all([True, 0, [3]])) # 0은 거짓으로 간주되므로 False print(all([])) # 비어 있는 경우 True 2. any() 함수 사용 목적: Iterable 객체의 모든 요소에 대해 Boo..
NVL(값1, 대체값) : 값1이 NULL이면 대체값 반환. 값1이 NULL이 아니면 값1 반환(SQL Sever에서는 ISNULL함수가 같은 기능) NVL2(값1, 대체값1, 대체값2) : 값1이 NULL이면 대체값3 반환. 값1이 NULL이면 대체값2 반환 COALESCE(값1,값2,값3,...) : 처음으로 NULL이 아닌 값 반환. 모두 NULL이면 NULL 반환 NULLIF(값1, 값2) : 값1과 값2가 같으면 NULL반환. 다르면 값1 반환

파이썬에서는 and, or, not을 논리연산자로 사용합니다. 주로, 조건문이나 반복문에서 조건을 체크할 때 자주 활용됩니다. 파이썬 불리언 자료형인 True와 False는 int() 함수를 통해 정수형으로 형변환하는 경우 True는 1, False는 0의 값을 갖습니다. 파이썬에서 논리연산자 and와 or는 Short-circuit evaluation(짧은 평가)라는 특성을 갖고 있는데, 이 특징에서부터 기인하는 효율적인 작동방식을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1. and 보통 두 피연산자가 모두 True면 True을 반환하는 연산자로 단순하게 알려져 있습니다만, 세부적으로는 첫 번째 피연산자가 True면 두 번째 피연산자의 불리언 값을 반환합니다. 첫 번째 피연산자가 False면 첫 번째 피연산자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