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개요
- 10.88.135.144/28 과 같이 IP주소/CIDR 표기법을 많이 보셨을텐데요, 네트워크ID와 호스트ID를 직접 계산할 필요없이 계산 및 시각화를 해주는 사이트를 소개하겠습니다.
- 이 사이트에 IP주소/CIDR을 입력하면 서브넷마스크, 네트워크 주소, 브로드캐스트 주소, 사용할 수 있는 IPv4 주소 개수 그리고 호스트로 사용가능한 첫 번째 IP주소와 마지막 IP주소를 계산해서 시각화 해줍니다.
- https://cidr.xyz/
1-1. (참고) IPv4 주소와 클래스, 그리고 CIDR
2. (참고)서브넷 마스크와 CIDR
- 하나의 IPv4 주소는 네트워크ID와 호스트ID로 구분됩니다.
- IPv4 초창기에는 A,B,C,D,E 클래스로 나누어 네트워크 크기(사용할 수 있는 IPv4 주소의 수)를 구분짓고 사용하였으나, IPv4 주소의 부족(약 42억 개)과 잔여 IPv4주소가 과잉되어 낭비가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 문제를 서브넷마스크와 CIDR을 도입하여 해결하였습니다.
- 서브넷마스크와 CIDR 모두 네트워크ID를 나타내는 표현방법입니다.
- 서브넷마스크 표기법 10.88.135.144, 255.255.255.240은 CIDR 표기법 10.88.135.144/28과 같습니다. 서브넷마스크 표기의 축약방법이 CIDR표기법입니다.
3. (참고)네트워크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그리고 사용가능한 IPv4 주소 개수
- 네트워크의 첫 번째 IPv4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됩니다.
- 네트워크의 마지막 IPv4 주소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됩니다.
- 상단 [사진1]을 참고하시면 'FIRST USABLE IP'와 'LAST USABLE IP'가 표기되어 있는데, 이는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사용가능한 IPv4주소를 나타냅니다.
- 상단 [사진1]을 참고하시면 'COUNT' 개수가 숫자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것은 네트워크가 사용가능한 IPv4주소의 수를 나타냅니다.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개수까지 포함됩니다.
Reference: Udemy Stephane Maarek, https://velog.io/@kimmainsain/%EB%AA%A8%EB%91%90%EC%9D%98-%EB%84%A4%ED%8A%B8%EC%9B%8C%ED%81%AC-%EC%A0%95%EB%A6%AC-5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Internet protocol과 IP주소 (0) | 2023.08.23 |
---|---|
[Network] URL(uniform resource locater)이란? (0) | 2023.05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