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OLTP (Online Transaction Processing)
- 고객 및 Application과 연동된, 프로덕션용 DB. DBMS에서 실시간으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기술(Ex. AWS RDS)
- 기업이 비즈니스 활동을 하며 DBMS를 통해 DB에 축적, 처리하는 데이터.(Ex. SQL과 NoSQL)
- 실시간 처리: 보통 많은 고객들이 이용하기에 실시간 처리 및 Low latency가 중요
- 동시성: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자가 DB에 CRUD를 할 수 있어야 함
- 데이터 무결성: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다보니 대량의 CRUD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꼬이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트랜잭션을 관리하며 데이터 무결성 유지
- 가용성: 기업의 매출과 직결되는 핵심 비즈니스 및 고객이 활용하는 DB이다 보니, DB를 365일 24시간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용성이 중요.
2. OLAP (Online Analytical Processing):
- 사내 데이터 팀의 데이터분석용 DB. DBMS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획득, 기업의사결정, 데이터 애널리틱스에 활용하는 기술(Ex. AWS Redshift)
- 사내 데이터팀의 데이터 3대장 직군이 주로 활용하는 DB이다!(데이터 엔지니어, 데이터 애널리스트, 데이터 싸이언티스트)
- 요새 핫한 AI 구현을 위한 머신러닝, 딥러닝에 주로 활용하는 DB!
- 대규모 데이터 처리: 기업이 활동을 하며 쌓인 고객, 비즈니스, 써드 파티 데이터 등 모든 데이터를 축적하기에, TB나 PB의 대용양 데이터도 적재 및 처리할 수 있어야 함
- 의사 결정 지원 및 인사이트 획득: OLAP DB의 궁극적 목적은 기업이 활동을 하며 획득한 모든 데이터를 활용하여 CEO를 포함한 이사진 및 실무자의 의사 결정에 활용하거나, 인사이트를 획득하여 고객가치향상, 생산성 및 효율성 증대, 매출 증가, 수익 창출 및 증대를 목표로 함.
3. OLTP와 OLAP의 관계
- OLTP DB, 써드파티 데이터 등 기업활동 과정에서 획득하는 모든 데이터를 ETL 프로세스를 통해 OLAP DB에 축적함
- ETL: Extract, Tramsform, Load의 줄임말로 여러 데이터 소스(특히 OLTP)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, 추출한 데이터의 포맷을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고, 변환된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OLAP 목적의 데이터 웨어하우스나 데이터 레이크에 적재
'DB(SQL, NoSQL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QL] SQLD NULL 관련함수 정리 (0) | 2023.11.17 |
---|